전체 글39 북적북적의 프론트엔드, 백엔드, DB를 살펴보자 6주차의 아침이 밝았습니다..! 이번 주차 부터는 PM에게 필요한 데이터 활용 능력과 개발 지식에 대해 학습하는데요, 첫 날이니만큼 DB가 뭔지, RDBMS와 NoSQL은 뭔지, PM이 왜 데이터를 다뤄야 하는지에 대해 배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PM이 데이터를 보아야 하는 이유는 때는 '왜?' 라는 질문, 혹은 뾰족한 가설을 확인하고 검증하기 위해서입니다. 데이터 역시 하나의 검증 수단일 뿐 좋은 문제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뜻이죠..! 기초 개념을 학습하기에 앞서 PM의 마인드셋에 대해 설명해주신 건, '너무 언어나 툴에 집착하지 말고, 왜 PM에게 데이터가 필요한지에 대해 알고, 그 맥락에서 어느 정도 활용하면 좋을지에 대해 생각해보아라'는 의미였던 것 같습니다. 오늘은 관심 있는 프로덕트를.. 2022. 9. 28. W5. 기획한 MVP가 플로의 성장에 도움이 될까?(feat. Growth, AARRR) 4주차까지 다뤘던 내용은 플로가 음원 스트리밍이라는 시장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 이 해결방식에 공감할 만한 고객은 누가 될 것인지, 고객이 왜 플로를 사용하고 플로에서 이탈하는지, 그렇다면 고객에게 가치를 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하고 이를 실제 MVP로 기획해보는 것이었습니다. 이번 주차 포스팅은 과연 이 MVP가, 정말 플로의 성장에 도움이 될지 검증해보는 글이 될 것 같습니다. MVP가 유효한지 확인하기에 앞서 먼저 플로의 성장 전략을 살펴보고 플로가 Growth point를 발견했는지 판단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플로는 Growth 포인트를 발견했을까? 아래는 '20년 상반기부터 '22년 상반기까지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의 굵직한 이슈들과, 해당 년도의 플로의 전략을 한 눈에.. 2022. 9. 28. W4. 떠나가는 고객을 잡기 위한 MVP를 기획하려면? (feat. 기획산출물) 지난 과제에서는 '다양한 아티스트를 스트리밍 하도록 유도한 플레이리스트 단위 설계가, 취향을 찾아 스스로의 플레이리스트를 구축하고자 하는 고객에게 걸림돌이 된다'라는 플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정의하고, 해당 솔루션을 구체적인 MVP로 기획해 보았습니다. 지금까지의 내용을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2021 음악산업백서 (시장)고객이 스트리밍 서비스를 선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합리적인 가격* (시장)고객이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사용자 주도 하에 원하는 음악을 선택해서 스트리밍 하기 위함* 플로의 목표는 무엇인가? - 시스템 플레이리스트 기반 청취를 유도해 유저와 다양한 아티스트를 만날 수 있도록 하고, (1인당 스트리밍 아티스트 수.. 2022. 9. 27. 지출증빙서류가 무서운 주니어 마케팅 담당자를 위한 캐릿의 한방(feat. A/B테스트) 지난 과제에서는 캐릿의 대표카피, 마이크로카피, CTA위주로 랜딩페이지를 분석해 보았습니다. 오늘은 지난 과제에서 도출한 문제를 바탕으로 조금 더 구체적이고 뾰족한 가설을 도출하고, 해당 가설을 검증하기위한 A/B테스트를 설계해 보고자 합니다. 지난 랜딩페이지 분석 포스팅에서 도출했던 문제 중 오늘 A/B테스트를 위해 집중할 문제는 바로 "법인 구독 고객은 비용 외에 회사에 제출할 지출증빙서류에 대한 두려움(어렵고 복잡하지 않을까 등)을 느낄 것이다" 입니다. 1. As-is, To-be A/B테스트를 위해 어떤 가설을 수립할 것인가 먼저 A/B테스트를 통해 바꾸어보고자 하는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현재 캐릿의 랜딩페이지 중 법인 회원 구매를 유도하는 부분은 아래와 같은데요, 단순히 '여러 사람이 멤버.. 2022. 9. 26. 한 달 구독하러 갔다가 12개월 결제한 사람~? 캐릿의 구매 랜딩페이지 MZ가 참여 많이 하는 이벤트 좀 찾아줘 ~ MZ가 좋아할만한 특이하고 트렌디 한 거 있잖아 ~ 예.. 결론부터 말하자면 저도 MZ가 맞긴 맞습니다만 MZ 안에 과연 얼마나 많은 연령대의 사람들, 얼마나 다양한 사람들이 있을까요..? M과 Z만 해도 엄연히 다른데 말이죠.. (제발 퉁치지 말아주세요) 그리고 특이하고 트렌디하다는 건 대체 어떤 기준인 걸까요..? 쉽게 답하기 힘든 질문들이지만 마케팅(뿐만 아니라 다른 직군도 요즘 특히 그렇겠지만)업계에 종사해보셨거나, 비슷한 직무 경험을 하셨던 분들은 MZ라는 단어만 들어도 노이로제가 걸릴 것 같은 기분..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심지어 본인이 MZ일지라도요.. '대체 MZ가 좋아하는 트렌디한 게 뭔데 !!!!!!' 라고 속으로 수만번 외치셨던 마케팅 담당.. 2022. 9. 23. 솜씨당은 성장을 위해 어떤 지표를 모니터링 했을까?(feat. AARRR) 오늘 분석할 프로덕트는 솜씨당이다. 아직 직접 클래스를 구매해 사용해보지는 않았지만 원데이 클래스 플랫폼을 이곳 저곳 비교해보던 당시 눈에 들어왔던 서비스였는데, 이번 기회에 분석해 보기로 했다. 솜씨당은 원데이클래스, 취미 플랫폼으로 클래스와 DIY키트, 그리고 핸드메이드 상품을 판매하는 서비스이다. 지난 번에 봤을 때는 없었던 것 같은데, 최근에 모임 기능도 새로 생긴 것 같다. 클래스101, 탈잉과 비교했을 때는 오프라인 클래스 위주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프립과 비교했을 때는 핸드메이드, 수공예 클래스 위주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정리하자면, 솜씨당은 2030 여성을 타깃으로 하는 수공예/핸드메이드 오프라인 원데이클래스 플랫폼이다. 현재 솜씨당의 매출에 기여하는 기능들은 아래와 같다. 오프라인.. 2022. 9. 22.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