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플로6

W5. 기획한 MVP가 플로의 성장에 도움이 될까?(feat. Growth, AARRR) 4주차까지 다뤘던 내용은 플로가 음원 스트리밍이라는 시장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 이 해결방식에 공감할 만한 고객은 누가 될 것인지, 고객이 왜 플로를 사용하고 플로에서 이탈하는지, 그렇다면 고객에게 가치를 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하고 이를 실제 MVP로 기획해보는 것이었습니다. 이번 주차 포스팅은 과연 이 MVP가, 정말 플로의 성장에 도움이 될지 검증해보는 글이 될 것 같습니다. MVP가 유효한지 확인하기에 앞서 먼저 플로의 성장 전략을 살펴보고 플로가 Growth point를 발견했는지 판단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플로는 Growth 포인트를 발견했을까? 아래는 '20년 상반기부터 '22년 상반기까지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의 굵직한 이슈들과, 해당 년도의 플로의 전략을 한 눈에.. 2022. 9. 28.
W4. 떠나가는 고객을 잡기 위한 MVP를 기획하려면? (feat. 기획산출물) 지난 과제에서는 '다양한 아티스트를 스트리밍 하도록 유도한 플레이리스트 단위 설계가, 취향을 찾아 스스로의 플레이리스트를 구축하고자 하는 고객에게 걸림돌이 된다'라는 플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정의하고, 해당 솔루션을 구체적인 MVP로 기획해 보았습니다. 지금까지의 내용을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2021 음악산업백서 (시장)고객이 스트리밍 서비스를 선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합리적인 가격* (시장)고객이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사용자 주도 하에 원하는 음악을 선택해서 스트리밍 하기 위함* 플로의 목표는 무엇인가? - 시스템 플레이리스트 기반 청취를 유도해 유저와 다양한 아티스트를 만날 수 있도록 하고, (1인당 스트리밍 아티스트 수.. 2022. 9. 27.
W3. 솔루션 정의와 MVP 기획 지난 주차 포스팅에서 도출한 플로의 핵심 문제는 다양한 아티스트를 스트리밍 하도록 유도한 플레이리스트 단위 설계가, 취향을 찾아 스스로의 플레이리스트를 구축하고자 하는 고객에게 불편 요소로 작용한다는 점이었습니다. 플로의 핵심가치는 다양하고 많은 곡들 사이에서 사용자가 스트리밍을 거듭할수록 정교화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끊이지 않게 곡들을 추천해주는 것입니다. 다른 스트리밍 서비스와 비교했을 때 플로의 가장 큰 특징은, 타인이 만든 플레이리스트와 내가 만든 플레이리스트(내 리스트), 즉 사용자가 두 개의 플레이리스트를 관리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시스템과 다른 사용자들이 추천하는 플레이리스트와, 내가 만드는 리스트(내 리스트)를 각각 재생목록에 담아 스트리밍 해야 하는 것이죠. 이 지점에서 두 가지 문제가 .. 2022. 9. 13.
W2. 플로, 취향을 발견하면 떠나는 고객을 잡아라! 1. 프로덕트 분석 재작년 포털사이트를 달궜던 이슈가 있습니다. 바로 '음원 사재기'인데요, 몇몇 곡들이 불법 스트리밍을 이용해 차트인했다는 의혹을 받으며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사람들은 왜 '차트인'에 민감했을까요? 일단 음원 차트 상위권에 진입하기만 하면 사람들이 그 순위대로 음악을 반복 소비하는 경향이 두드러졌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차트에서 '명곡, 좋은 노래, 신선한 노래'를 듣고 싶었지만, 몇몇 곡들의 순위가 고착화되어 늘 비슷한 노래를 들어야 했습니다. "그 음악이 뭐라고 차트 올라오는 게 유명한 거겠지, 아님 찾아 듣든" 이라고 할 수 있지요. 그러나 "듣고 싶은 음악"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우리는 왜 음악을 듣고 싶을까요? 신나고 싶어서, 위로받고 싶어서, 심심해서 등 다양한 이유가 있겠.. 2022. 9.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