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데이터분석3

쓱닷컴이 스마일클럽으로 이커머스 멤버십 경쟁에서 웃기 위한 전략은?(feat. 지표설정, 데이터분석) 이번주차부터는 위클리 프로젝트로 데이터 분석 포트폴리오를 제작하게 되었다. 기업에서 근무하지 않는 이상 내부 데이터를 볼 수 없고, 구할 수 있는 데이터셋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정확한 데이터를 구하고 분석하는 데 방점을 찍기보다 어떤 논리로 가설을 도출해내는지에 집중하고자 한다. 먼저 관심있는 프로덕트와 그를 개선하기 위한 지표, 그리고 지표를 확인하기 위해 어떤 데이터를 보아야 할 것 같은지 정리해 보자. 데이터 분석 포트폴리오로 다룰 프로덕트는 SSG.COM(이하 쓱닷컴)의 멤버십인 스마일클럽이다. 이번 주차 과제 이후 다음 주차부터 어떤 방향으로 가이드를 주실지 몰라서 일단 진행해보고, 도저히 마땅한 데이터셋을 구할 수 없을 경우 이커머스 시장 전반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며 인사이트를 얻는 방향으.. 2022. 10. 11.
티빙이 국내 1위 서비스가 되려면? KOSIS 데이터로 세워보는 전략 오늘 과제는 평소 관심이 있는 프로덕트의 문제점(강점)을 해결(강화)하기 위해 보아야 할 지표를 선정하고, 해당 지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분석해 보는 것이다. 이론을 배우기보다 실제 분석 툴을 이용해 데이터를 다뤄 보는 것이 목적이니만큼 서론은 가볍게 하고 실제 분석에 들어가보자. 1. 프로덕트 선정 : 티빙 이번 과제에서 선정한 프로덕트는 티빙이다. 코로나19로 인해 콘텐츠 시청의 축이 TV와 영화관에서 OTT로 옮겨온 것이 미디어 업계의 첫번째 변화였다면, 엔데믹 이후는 두 번째 변화가 될 것이고, 그에 따라 시청자의 시청 행태를 예측하고 수익을 다각화하는 것이 주요 과제가 될 것이다. 티빙과 CJ ENM의 모든 사업전략을 다루기에는 범위가 너무 방대하기에, '유료 구독자 천만명을 .. 2022. 10. 4.
세상에서 가장 귀여운 기분일기, 하루콩을 분석해보자(feat.린 분석) 오늘은 린 분석이 필요한 이유와 사업 단계/서비스 유형별 린 분석 방법에 대해 배웠다. 오늘 강의는 위의 린 분석 도서를 기반으로 진행되었다. 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한 문장으로 요약하면 '데이터 주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여기서 데이터 주도적이란,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 그치지 않고 분석의 결과가 기업의 의사결정에 실질적으로 반영되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데이터란, 사업이 올바르게 나아가고 있는지 확인하는 수단이라 볼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나 세상에는 다양한 종류의 프로덕트가 있고, 각각의 프로덕트는 이제 막 세상에 나왔을 수도, 안정 궤도에 접어들었을 수도, 새로운 사업을 확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프로덕트의 종류와 성장 단계에 따라서 목표는 달라질 것이고, 달라진 목표에 따라.. 2022. 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