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애자일 관리 도구인 Jira를 직접 사용해보며 기본 기능을 파악하고, 애자일의 원칙이 Jira의 기능에 어떻게 녹아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TMI이지만 예전에 모 회사에서 인턴으로 근무하던 당시에 팀원 분들께서 '지라 확인했어?' 라는 말씀을 자주 하셨는데, 그 때 당시 팀에 워낙 외국어가 출중한 분들이 모여 계셨던 터라 한 치의 의심도 없이 "Jira = 잘 모르겠지만 업무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문서를 뜻하는 일본어" 라는 생각을 했던 흑역사가 있습니다.. 대충은 때려 맞힌 것 같네요. 그런데 혹시 하고 찾아보니 정말 JIRA라는 이름을 ゴジラ(고지라)라는 일본식 이름에서 따왔다고 합니다. 고지라는 고질라를 뜻한다고 하는데요, 뭔가 엄청난 소프트웨어를 만들고자 했나 봅니다..(?)
+ 수정 : 아틀리시안 개발자들이 버그 찾아낼때 썼던 Bugzilla라는 툴에서 이름을 따왔다고 합니다...! 역시 고질라에서 시작한 건 아니었던 것으로.... (Bugzilla → Godzilla → Gojira → Jira가 되었다고 하네요..!)
근무 당시에 Jira에 대해 여쭤봤다면 Jira를 조금 더 빨리 접할 수 있었을 텐데요.. 지금 생각하니 너무 아쉽습니다. 그런데 생각해보니 당시 팀은 애자일 조직이 아니었는데, Jira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었던 건지 궁금해지네요. 아무튼, 이제 Jira에 대해 알아봅시다.
1. Jira 는 무엇인가?
Jira는 Atlassian(아틀라시안)이 개발한 이슈 추적 소프트웨어입니다. 원래 Jira는 버그 및 이슈 추적 소프트웨어로 만들어졌지만 현재는 요구사항 및 테스트 사례 관리에서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에 이르기까지 모든 유형에 적용할 수 있는 작업 관리 도구로 발전했다고 해요. 특히 애자일 방법론을 따르는 팀의 경우 Jira Software가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스크럼과 칸반 보드를 제공합니다. 보드를 통해 각 작업 항목의 상태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고, 시간 추적 기능과 실시간 성능 보고서(번업/번다운 차트, 스프린트 보고서, 속도 차트)를 통해 프로젝트 진척 상황에 대해 판단할 수 있습니다.
Jira 공식 가이드에 따르면, Jira를 주로 사용하는 케이스는 아래와 같다고 합니다.
- 요구 사항 및 테스트 사례 관리를 위해
- 애자일 팀을 위해
- 프로젝트 관리 팀을 위해
- 소프트웨어 개발 팀을 위해
- DevOps 팀을 위해
- 제품 관리 팀을 위해
- 작업 관리를 위해
- 버그 추적을 위해
Jira를 통해 애자일 팀을 관리할 수 있지만, 다양한 활용사례를 통해 꼭 애자일 팀이 아니더라도 필요에 따라 활용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이 포스팅에서는, 애자일 관리 도구로서 Jira의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므로 애자일 팀의 활용 사례에 대해 조금 더 집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 Jira의 주요 기능과 애자일의 원칙
Jira 공식 가이드에서는 Jira를 사용해 보드를 만들고 태스크를 할당하기 전 알아야 할 주요 용어를 안내하는데요, 먼저 주요 용어부터 알아봅시다.
스크럼, 칸반, 백로그 등 익숙한 용어들이 많이 보이는데요, 아무래도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조직의 관리를 돕는 툴이다보니 기본적으로 관련 용어들이 많이 등장하는 것 같습니다. 애자일 방법론, 프레임워크인 칸반과 스크럼 중 스크럼 보드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합시다. 스크럼이니, 예상해 본다면 스크럼 보드에서는 스프린트 기간동안 태스크를 할당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스크럼 프로젝트 템플릿을 생성하면 위와 같이 팀에서 관리/회사에서 관리 옵션을 선택해 스크럼 보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애자일 제 4원칙인 '함께 일하기', 즉 비즈니스 담당자와 개발자가 프로젝트 전체 기간동안 소프트웨어 개발 진척사항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팀원이 모두 확인할 수 있는 보드 형태를 제공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보드를 생성하면 백로그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위의 사진과 같이 에픽/버그/스토리/태스크로 구분해 백로그를 등록할 수 있는데, 에픽이란 많은 사용자 스토리, 세부 단위로 나눌 수 있는 업무의 큰 틀을 뜻합니다. 보통 하나의 스프린트에 걸쳐 완수되는 목표가 아니라, 여러 스프린트에 걸쳐 완수되는 주요 기능들이 에픽에 해당합니다. 스토리는 유저스토리를 뜻합니다. 보통 에픽과 스토리는 PO가 작성하게 됩니다.
위와 같이 로드맵을 활용해 큰 범위의 목표(에픽)을 작성 후 하위에 유저스토리를 추가할 수 있으며, 가로축에 스프린트 기간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백로그는 아래와 같이 보드를 통해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보드에서는 이슈의 진행 상황을 통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스프린트의 진행률을 파악하기 위한 번업/번다운 차트와 에픽 진행률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애자일의 제 7원칙은 실행하고, 배우고, 개선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의 개발 진척도를 측정하는 것인데요, 80%의 기능을 100%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위해 작업 진척도를 파악하고 백로그를 조정하는 기능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또한, 제 8원칙은 지속 가능한 개발 속도를 유지하는 것인데요, 지속 가능한 개발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번다운 차트를 활용하여 작업 범위와 속도를 관리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정리하자면 PO는 Jira의 로드맵 기능을 사용해 주로 에픽(스크럼 목표 혹은 로드맵)을 작성하고 스프린트 기간 내 일정을 파악하며, 백로그 기능을 사용해 스토리(유저스토리) 형식으로 태스크를 할당합니다. 해당 스프린트에서 태스크의 진척도를 확인하기 위해 보드를 활용하고, 인사이트 기능(번업/번다운차트 등)을 활용해 속도와 작업 범위를 조정해 나갈 수 있습니다.
*참고사이트 : https://velog.io/@jinuku/팀에-맞게-Jira로-스크럼-관리하기-규칙-정하기
'Product Manager > 코드스테이츠 PMB14'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은 어떤 이해관계자들과 커뮤니케이션 할까? (1) | 2022.10.18 |
---|---|
스프린트 실행 과정에서 PO/PM의 역할은 무엇일까? (1) | 2022.10.18 |
북적북적과 알라딘 검색API 로 알아보는 서버, 백엔드, 프론트엔드 (완결) (0) | 2022.10.12 |
알라딘 도서 검색 API의 활용사례(feat. 북적북적) (0) | 2022.10.11 |
비즈니스에 따라 적합한 앱 유형은 무엇일까?(feat. 네이티브, 하이브리드, 모바일 웹, 웹앱) (0) | 2022.10.07 |